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모두보기닫기

화장품, 옷, 가구... 분리배출, 어디까지 해보셨나요? (feat. 직접 해 본 분리배출 체험기)

작성일 : 2025.11.18 조회 : 10

취재 : 넷제로프렌즈 제3기 남철우

 

"이건 어떻게 버려야 하지?"

재활용 쓰레기를 버릴 때마다 드는 생각입니다. 특히 화장품, 낡은 옷, 소형 가구 등은 매번 헷갈리는 품목들입니다. 그래서 직접 체험해봤습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까다로운 쓰레기들, 올바르게 분리배출하는 방법입니다.

 

1단계: 화장품 용기 - '비우고, 헹구고, 분리하고'

매일 사용하는 화장품, 다 쓴 용기는 어떻게 버리고 계신가요? 대부분의 화장품 용기는 플라스틱, 유리 등 재활용이 가능한 재질이지만, 올바른 배출을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정이 필요합니다.

 

(사진=남철우 기자)

 

먼저, 내용물을 비워야 합니다. 용기 안에 남은 화장품은 키친타월로 닦아내거나 물로 깨끗하게 헹궈서 비워줍니다. 헹궈낸 물은 그대로 하수구에 버리면 수질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니, 최대한 닦아내고 일반 쓰레기로 버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다음, 라벨을 제거해줍니다. 용기 겉면에 붙어있는 스티커나 비닐 라벨은 재활용을 방해합니다. 깔끔하게 제거해서 비닐류로 따로 배출합니다.

 

가장 중요한 단계인 부품 분리입니다. 펌프, 뚜껑, 용기 본체를 모두 분리해야 합니다. 펌프의 경우, 스프링 등 여러 재질이 섞인 '복합재질'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분해가 어렵기 때문에 일반 쓰레기(종량제 봉투)로 버려야 합니다. 뚜껑 및 용기는 플라스틱(PP, PET)이나 유리로 된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재질에 맞게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분리배출합니다.

 

화장품 용기는 '단일 재질' 부분만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펌프처럼 여러 재질이 섞인 부품은 과감히 일반 쓰레기로 버리는 것이 핵심입니다.

 

2단계: 의류 - '수거함' '종량제 봉투'를 구분하자

계절이 바뀌면서 정리하게 되는 낡은 옷들, 무조건 의류수거함에 넣으면 될까요? 정답은 '아니오'입니다. 의류수거함은 '재사용'이 가능한 의류를 위한 공간입니다.

 

(사진=남철우 기자)

 

재사용이 가능한 의류는 다른 사람이 입을 수 있는 깨끗한 헌 옷, 신발(한 켤레씩 묶어서), 가방, 커튼, 담요 등으로, 의류수거함에 버려야 합니다. 재사용이 불가능한 의류는 솜 이불, 베개, 방석, 심하게 오염되거나 찢어진 옷, 수건, 양말, 속옷 등으로, 일반쓰레기로 분류하여 버려야 합니다.

 

"내가 이 옷을 다른 사람에게 줄 수 있을까?"를 기준으로 판단하면 쉽습니다. 재사용이 불가능한 낡고 오염된 의류는 일반 쓰레기(종량제봉투)에 버리거나, 부피가 크다면 대형 폐기물로 신고 후 배출해야 합니다.

 

3단계: 소형 가구 - '신고'는 필수!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작은 의자나 선반. 크기가 애매해서 그냥 버려도 될지 고민될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가구는 크기와 상관없이 '대형 폐기물'로 분류됩니다.

 

(사진=파주시청)

 

신고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관할 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구청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대형 폐기물 배출 신고' 메뉴를 통해 배출할 품목, 날짜, 장소를 지정합니다.

3. 품목에 맞는 수수료를 결제합니다.

4. 신고필증(스티커)을 출력해 폐기물에 부착합니다.

 

이렇게 신고한 날짜에 맞춰 지정된 장소에 내놓으면 수거 업체에서 가져갑니다. 가구는 무단으로 버릴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정해진 절차에 따라 신고하고 수수료를 납부한 뒤 배출해야 합니다.

 

직접 체험해 본 분리배출은 조금 번거롭고 귀찮은 과정이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무심코 버리는 쓰레기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면, 이 작은 수고는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최소한의 실천일 것입니다. 오늘부터 딱 한 가지라도 제대로 분리배출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위 콘텐츠()은 탄녹위 넷제로프렌즈 3기 참여자가 작성한 글입니다.

 

저작권 정책 :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이용이 가능합니다.

,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공공누리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