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모두보기닫기
포럼 대한민국 탄소포럼 2024 (24.11.27)
작성일 : 2024-11-14 조회 : 2183
컨퍼런스ㆍ세미나 표로 일시, 장소, 주최/주관, 후원, 주제, 포스터ㆍ안내, 발표자료, 현장스케치를 안내합니다.
제목 대한민국 탄소포럼 2024 (24.11.27)
일시 2024년 11월 27일 (수) 10:00~17:40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 및 세미나실)
주최 대통령직속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대한상공회의소
주관 한국기후변화연구원, 한국기후환경원
주제 국내외 탄소중립 이슈와 우리의 대응
발표자료
포스터ㆍ안내

자세한 내용은 이어지는 텍스트 참조




KOREA CARBON FORUM 2024 대한민국 탄소포럼 2024 | 2024. 11. 27 국내외 탄소중립 이슈와 우리의 대응




2024. 11. 27.(수) / 10:00 - 17:40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 및 세미나실



주최 대통령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대한상공회의소

주관 KRIC 한국기후변화연구원, 한국기후환경원

후원 (사)한국기후변화학회




개회식 연사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 도지사 한국기후변화연구원 이사장

김동일 한국기후변화연구원 원장

한화진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민간위원장

김상협 GGGI 사무총장(신)

박일준 대한상공회의소 부회장

김소희 국회의원

정기용 외교부 기후변화대사



특별대담 연사


전의찬 한국기후환경원 원장

이영석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

임재규 숭실대학교 교수

조영준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 원장

이상협 국가녹색기술연구소 소장

한삼회 조선일보 수석논설위원

하지원 에코나우 대표


개회식 및 특별대담 13:00-15:00



13:00 의원회의실 ) 개회식 개회사 | 김동일 한국기후변화연구원 원장 환영사 |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한국기후변화연구원 이사장 축사 | 김상협 GGGI 사무총장(신), 박일준 대한상공회의소 부회장


13:45 국제회의장 ) 기조연설 탄소중립과 녹색성장의 통합적 접근 - 한화진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민간위원장


14:05 국제회의장 ) 초청강연 탄소중립녹색성장과 입법의 역할 - 김소희 국회의원


14:25 국제회의장 ) 특별강연 COP29 총평 및 국제적 전망 - 정기용 외교부 기후변화대사


14:45 국제회의장 ) 특별대담 좌장전의찬 (한국기후환경원 원장) 정부 이영석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 학계 임재규 (숭실대 교수) 경제계 조영준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장) 과학계 이상협 (국가녹색기술연구소장) 언론계 한삼희 (조선일보 수석논설위원) 시민단체 하지원 (에코나우 대표)




세미나



SE1 배출권거래제 4차계획기간 주요추진 방향과 시사점 ·발표1: 배출권거래제도의 성과와 화제 ·발표2: 배출권거래제 발전방향 및 제4차 계획기간 시사점 ·발표3: 제4차 계획기간을 위한 탄소배출권시장 개선방안. 10:00~11:40 중회의실A. 숙명여대 BNZ파트너스 NAMU EnR


SE2 녹색산업과 지역사회의 패러다임 ·발표1: 서울시의 건물히트펌프 보급정책을 통한 탄소중립 ·발표2: 수소 저탄소 녹색산업을 통한 탄소중립으로의 전환 ·발표3: 대전시의 녹색산업 추진과 탄소중립. 10:00~11:40 소회의실3. 서울연구원 강원테크노파크 대전세종연구원


SE3 기후변화 대응 과정에서 전과정평가(LCA)의 역할 ·발표1: 전과정평가(LCA)의 가치와 필요성 ·발표2: LCA를 통한 환경성적 산정 ·발표3: Scope3 배출량 검증사례 및 이슈. 10:00~11:40 소회의실4. 강원대학교 (주)에코에투스 한국표준협회


SE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숲의 역할과 가치 ·발표1: 기후변화에 대한 곤충의 반응 ·발표2: 정주지 탄소흡수원의 역할과 당면과제 ·발표3: 탄소 해결사로서의 숲: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산림의 중요성. 10:00~11:40 소회의실1. 강원대학교


SE5 COP29 결과와 파리협정 6조 전망 ·발표1: 파리협정 제6조 주요협상결과 ·발표2: COP29 및 PACM 감독기구 결정사항과 국제감축사업 ·발표3: 파리협정 제6.2조 국제감축사업 선도사례. 16:10~17:40 중회의실A. 생산기술연구원 KEA/KRIC.


SE6 CBAM 기준과 핵심이슈 그리고 대응사례 ·발표1: CBAM 추진 현황과 지원사업 안내 ·발표2: CBAM 산정이슈와 해결방안(사례) ·발표3: CBAM EU와의 협의동향. 16:00~17:40 소회의실4. 한국환경공단 KRIC 산업통상자원부


SE7 기후 공시 현안과 사례 그리고 전략 ·발표1: 국내외 기후 공시 기준 및 정책동향 ·발표2: ESG 공시 기준 ·발표3: CJ대한통운 기후 공시 대응 사례. 16:10~17:40 소회의실3. KRIC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CJ 대한통운.


SE8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VCM) 이슈와 과제 ·발표1: 자발적 탄소시장의 글로벌 표준 동향 ·발표2: 민간 주도의 국내 VCM 운영성과와 향후 과제 (탄소감축인증센터 중심으로) ·발표3: 탄소 해법의 재발견 : Scope3와 비규제 부문을 아우르는 포괄적 관리. 16:00~17:40 소회의실2. KRIC 대한상공회의소 홍익대학교




전문가간담회



EM1 ODA와 국제감축사업의 연계 추진전략 ·발표1: 국제감축사업 목표 달성을 위한 ODA의 역할 ·발표2: 개도국의 파리협정 6조 관련 역량강화를 위한 우리나라 ODA 모델(안) ·전문가 토의. 10:00~11:40 소회의실5. KOICA KRIC.


EM2 산업계 대상 1차 격년투명성보고서(BTR) 간담회 ·발표1: 격년투명성보고서(안) 소개 ·토론 : 산업계 참석자. 16:00~17:40 소회의실2.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대한상공회의소.


EM3 REDD+ 추진현황 및 민간참여방안. ·발표1: 산림청의 REDD+ 사업 현황 및 정책 방향 ·발표2: COP29 협상 결과와 REDD+ 시사점 ·발표2: REDD+ 민간 참여 활성화 필요성 * 사전초청자 이외 참석불가. 16:00~17:40 소회의실1. 산림청 KRIC




KOREA CARBON FORUM 2024 대한민국 탄소포럼 2024

2025-2026 강원방문의해

www.kric.re.kr



참가신청 바로가기


현장스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