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ENG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로고

위원회 활동

홈으로 위원회활동 위원회 활동
인쇄

[김상협위원장] 전자신문 인터뷰_디지털 탄소중립으로 승부수

작성일 : 2023-07-16 조회 : 186

[대한민국 대전환 'ON' 시즌2] 에너지안보·탄소중립〈5〉김상협 탄녹위원장 “디지털 탄소중립으로 승부수”





#김상협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 민간위원장은 윤석열 정부 초대 탄녹위원장이다. 이명박(MB) 정부 시절 청와대 녹색성장기획관을 지내며 MB정부 대표 정책 중 하나인 '녹색성장'을 설계했다. '녹색성장'의 원조격인 김 위원장은 작년 10월 탄녹위를 새롭게 출범시켰다. 문재인 정부가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40% 감축하겠다고 국제사회와 한 약속은 “원전 없이는 꿈도 꿀 수 없는 비현실적 목표”라고 비판한 후 원전과 재생에너지가 상호보완하는 '에너지믹스' 정책을 제시했다. 최근 방한한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을 만난 김 위원장은 '2050 탄소중립' 해법을 '한국의 디지털 기술'에서 찾았다.



폭우·폭염·홍수·가뭄·태풍 등 기후변화가 초래하는 자연재해 피해규모는 매년 커지고 있다. 지구온난화가 야기할 인류 대재앙을 막기 위해서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할 게임체인저 '기후테크' 도입이 시급하다. 세계적 기후 전문가들과 끊임없이 교류 중인 김 위원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 정보기술(IT)을 보유한 '디지털 강국' 대한민국이 기후위기 시대 세기의 대전환을 주도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다만,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등 기후테크 시장을 둘러싸고 국가 대항전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만큼 지원규모를 확대하고 집행에 속도를 내야한다고 주장했다. 탄녹위는 2030년까지 약 145조원규모의 투자·연구개발(R&D) 지원으로 국가온실가스배출감축목표(NDC)를 달성하는 동시에 기후테크 유니콘 10개를 육성하고 수출 100조원을 달성해 기후테크 시장을 선점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현실가능한 탄소중립 로드맵을 앞세워 한국 정부와 기업이 지구촌 '기후위기' 극복을 견인하도록 '디지털 탄소중립'이라는 승부수를 던진 '녹색성장의 원조' 김 위원장을 만났다.



- 지구온난화로 인한 인류 재앙을 막을 수 있는 소위 게임체인저가 될 기후테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어떤 분야에 주목해야 할까.



▲기후테크는 기후(Climate)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적응에 기여함과 동시에 수익을 창출하는 모든 혁신 기술을 의미한다. 클린테크, 카본테크, 에코테크, 푸드테크, 지오테크 등 5개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기후변화를 가져온 가장 큰 요인이 화석연료였기 때문에 화석연료와 대비되는 클린테크 분야에 주목하고 있다. 태양광,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와 IT를 활용한 분산자원관리가 대표적이며, 국내 주요 기업과 벤처·스타트업도 해상풍력 인프라 구축 등 재생에너지 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또 대표적 무탄소 전원이자 차세대 원전인 소형원전모듈(SMR)은 한국이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 지난 4월 우크라이나는 현대건설과 미국 원자력기업 홀텍에 SMR 20기를 건설해달라고 요청했다. SMR은 5월 부산에서 열린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서도 큰 주목을 받았다. 전기차, 배터리, 탄소포집 등 카본테크 분야도 한국이 세계를 이끌어갈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벗어나 전기차, 수소연료 전지차까지, 육상교통에서 선박, 항공까지 연결되는 모빌리티 분야도 앞으로 주목해야 한다.



 



―그렇다면 이번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은 그 핵심을 제대로 담고 있나.



“완벽한 계획이냐고 묻는다면, 아니다. 다만 현시점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내놓았다. 2030년 온실가스 40% 감축은 대한민국과 국제사회의 약속이다. 지난 정부가 60점을 맞고 이번 정부에 100점을 맞으라는 식이니 얄밉기도 하지만 그 약속은 지키는 것이 맞다. 문제는 전 정부가 떠넘긴 40%라는 숫자의 근거와 수단이 보이지 않았다. 예를 들어, 2년 전 발표에선 NDC 산업부문 감축 목표가 14.5%였는데 화학산업의 경우 이를 이행하려면 콩이나 옥수수 같은 식물로 만든 바이오 나프타 2360만 t가량이 필요하다. 전 세계 공급량(880만 t가량)의 3배를 수입해야 하는데 말이 되나. 이번에 산업부문 감축 목표치를 3.1%포인트 줄인 11.4%로 조정한 배경이다.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이행 가능하도록 재구성한 게 이번 계획이다. 이행 점검을 통해 하나씩 확인해 가면서 실행력을 확보해 갈 것이다. 2050년까지 6개 정부가 해야 할 일이고 이번 정부는 단단한 디딤돌을 깔 것이다.”



 



* 보다 자세한 인터뷰 내용은 아래 해당 언론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



인터뷰 원문기사 보러가기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