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ENG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로고

위원장 활동

홈으로 위원회활동 위원장 활동
인쇄

[김상협 위원장] 파이낸셜뉴스 인터뷰 - “판 커지는 녹색금융… 미래 먹거리 ‘기후테크’ 주목하라”

작성일 : 2023-06-19 조회 : 293

"녹색금융의 답은 단 하나다. 바로 '탄소 가격(carbon price)'이다. 탄소 배출에 비용이 든다는 인식이 확립되면 저절로 굴러간다. 지금 탄소 문명에 익숙해져서 체감하지 못하고 있지만, 탄소 중립으로 (산업과 돈의 흐름이) 다 이사를 가는 중이다."



김상협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이하 탄녹위) 민간위원장(사진)은 19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파이내셜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각국에서 국가 정상 의제로 다뤄지는 등 녹색금융의 판이 커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대담 = 전용기 금융부장



김상협 민간위원장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트랜지션 파이낸스(transition finance) 규모가 60조달러 이상인데 이중 30조달러 이상이 아시아태평양에 필요하다"며 "한국이 10년전부터 준비한만큼 유리한 환경에 놓여있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과거에 반도체를 새로운 먹거리로 찾아냈듯, 우리나라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기후테크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련 투자가 늘어나고 ESG 바람이 부는 것을 보면 된다. 결국 돈이 (미래를) 말하는 것"이라며 "국가의 힘 있는 부처, 인재를 양성하는 전국의 대학들로 탄소중립과 녹색금융 의제를 확산시키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하는 김 위원장과 일문일답.



―최근 정부는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제1차 기본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40% 감축을 위한 부문별 추진과제와 함께 이행기반 강화정책으로 '탄소중립 녹색금융 활성화'를 포함했다. 아울러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해 △녹색산업금융 지원 등 정책·민간금융 지원 확대 △기후 시나리오와 평가모형개발 등 기후 리스크 대응 강화 △공시제도 구축과 K-택소노미 적용 확대 등 녹색금융 인프라 구축 등 구체적인 과제를 제시했다. 그 결과 산업은행의 넷제로프로그램과 수출입은행 저탄소 산업구조 촉진 프로그램 등 녹색산업금융 지원이 확대되고 국민연금 ESG 책임투자 활성화와 기관투자자 스튜어드십 코드 개정 등이 검토되고 있다. 녹색금융은 기업의 탄소감축 이행비용을 지원하거나 자금을 공급하는 서포터 역할에서 벗어나 새로운 탄소감축 시장과 산업을 '리딩'하는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한 과제는.



▲민간 금융업계는 녹색금융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더욱 속도감 있는 이행이 필요하다. 먼저 은행과 기관 투자자들은 녹색금융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021년 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까지 탄소 중립 갭을 축소하기 위해 약 10조달러(1경 2805조원)의 투자가 필요하다. 국내 민간 금융사 중에서는 4개 금융지주(하나금융, 우리금융, 신한금융, KB금융)가 탄소중립을 선언했으며 이들이 제시한 2030년 녹색금융 목표금액은 총 240조원 수준이다. 정부도 녹색금융 활성화와 그린워싱 방지 등을 위해 K-택소노미 적용 부문 확대와 제도개선 등 인프라 구축에 보다 노력해야 한다.



―녹색금융을 발전시키기 위해 국내 여건은 어떤가.



▲한국은 탄탄한 제조업이 뒷받침되고 있고 발전돤 IT 기술로 디지털 녹색금융 인프라 구축 등 여건도 유리하다. 특히 유럽 다음으로 탄소 배출권 제도 및 녹색분류 체계 조기도입 등 선진 녹색금융 인프라 구축 기반을 조성중이다. GCF, GGGI 등 녹색금융 글로벌 협력과 파트너쉽 구축에 유리한 위치다. 아울러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 등 금융당국과 시중은행 등 금융회사들도 녹색금융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우리가 진취적인 리더십을 발휘한다면 아시아 국가에서 한국이 '녹색금융 허브'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기후테크 육성 및 산업구조 전환을 위한 정부 역할은.



▲기후테크 시장은 현재 태동 단계이지만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세계적 관심을 감안하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퓨처마케팅인사이트에 따르면 2022~2032년 기후테크 시장의 연평균 상승률은 24.2%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기후테크 산업 역시 최근 3년간 17.8%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기술 수준은 선진국 대비 70~80%로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대규모 정책펀드 조성과 연구개발(R&D) 지원 확대, 수출 동력화 촉진 등 정부지원을 지속하는 동시에 민간 자금이 기후테크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녹색금융 관련 전하고 싶은 말은.



▲한국은 이제 개도국 마인드에서 벗어나 선진국 관점에서 이슈를 선점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룰 세터(rule setter)로서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이미 10여년 전 한국은 녹색성장을 선언하고 GCF, GGGI 본부를 한국에 유치하는 등 글로벌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다. 일본, 호주, 동남아 등 아시아 국가를 비롯해 미국·유럽 선진국들도 한국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지금이 바로 우리 경제구조를 대전환하는 역사적 전환점이라고 생각한다. 5년간 중장기 재정계획 규모가 89조9000억원이다.

현재 변화하고 있는 세상을 보면 부족한 규모다. 이를 스케일업해서 다시 돌아올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게 우리의 숙제다. 팀 코리아로서 금융당국과 민간금융, 산업계의 노력이 '삼위일체'로 나아가면 한국이 녹색금융 이니셔티브를 주도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 파이낸셜뉴스, 2023.06.19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