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모두보기닫기

[기재부] 美 신정부 기후정책 방향 및 기후금융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한 전문가 논의

작성일 : 2024.12.19 조회 : 1371

美 신정부 기후정책 방향 및 기후금융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한 전문가 논의

- 제4차 민관합동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정책협의회 개최 -


  김범석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24.12.19.(목) 16:30, 서울 은행회관에서 「제4차 민관합동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정책협의회」를 개최하여 ①美 신정부 기후정책에 대한 전망(법무법인 율촌), ②기후분야 민간금융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기재부), ③한국 탄소크레딧 시장 구상안(기재부)을 논의했다.
    * 참석자 : 기재부 제1차관(주재), 금융위, 환경부, 고용부, 대한상의, 경영자총협회, 은행연합회, 금융투자협회, 한국거래소 등

 

  이번 협의회에서 참석자들은 먼저 내년 1월 트럼프 신정부 출범 등으로 美 기후정책의 기조 변화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구체적인 변화 방향과 주요 쟁점에 대해 전망하고 의견을 교환하였다. 또한 이러한 환경 변화가 우리 기업에 어떤 기회와 리스크가 될 수 있는지 의견을 제시함과 동시에, 정부 차원의 대응방안을 모색하였다.

 

  김 차관은 기후변화대응을 위해서는 다양한 산업‧에너지 분야에서 기존 운영방식과 구조를 변경하는 장기적‧다각적 노력이 필요하고 막대한 재원이 소요되는 만큼, 기후금융 등을 통한 민간중심의 생태계 조성이 긴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차원에서 기후분야 민간금융 현황을 점검하고, 녹색금융 활성화 방안과 함께 탄소 다배출 기업의 저탄소 전환을 보다 폭넓게 지원하기 위한 전환금융 도입 검토안에 대해 전문가들의 심도있는 의견을 청취하였다.

 

  이와 함께, 오늘 회의에서는 기업의 탄소중립 이행부담을 경감하고 온실가스 少배출기업과 일반국민 등 배출권 非할당 영역에도 탄소가격체계를 도입하는 “한국 탄소크레딧 시장 구상안”도 논의되었다.

 

  끝으로 김 차관은 기후정책 및 글로벌 ESG에 대한 국내외적 관심이 더욱 증대되는 상황임을 언급하면서, 이번 협의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시의적절한 대응방안을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해당자료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