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자료 |
|
보도시점 |
2025.8.24.(일) 11:00 < 8.25(월) 조간 > |
배포 |
2025.8.22.(금) |
에너지슈퍼위크 25일 개막, 전 세계 에너지 지도자(리더) 부산 집결 |
- 세계 40여 개국, 1,200명 정부대표, 65개 국제기구·단체, 540개 기업 부산 집결 - 에너지고속도로, 재생에너지 전환 등 새 정부 정책방향 구현 및 제시 - 에너지장관회의 의장국으로서 에너지 안보, 전환 의제 지도력(리더십) 발휘 |
오는 8월 25일(월)부터 29일(금)까지 부산 벡스코와 누리마루 아시아태평양경제렵력체(APEC) 하우스 일대에서 전세계 기후·에너지 지도급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이는‘에너지슈퍼위크(Energy Super Week)’가 열린다.
이번 주간에는「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World Climate Industry EXPO, WCE)」와 ▴청정에너지 장관회의(CEM), ▴미션이노베이션 장관회의(MI),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에너지장관회의가 동시에 개최되며, 장관급 에너지 3대 회의와 국제 전시·학술회의(컨퍼런스)가 한 자리에서 열리는 전례 없는 행사가 될 전망이다.
올해 행사의 주제는 “Energy for AI, AI for Energy”다. 인공지능과 에너지의 융합을 통한 미래 전략을 제시하고, 국제사회가 직면한 기후·에너지 위기에 대한 협력 해법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40여 개국 정부대표와 65개 국제기구단체, 세계적 기업 최고책임경영자(CEO)들이 부산을 찾아, 한국이 국제 에너지 협력의 중심지로서 위상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인공 지능과 에너지의 미래 제시
핵심 행사인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는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된다. 국제에너지기구(IEA), 세계은행(WB) 등 주요 국제기구와 공동으로 주최하며, 국무총리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파티 비롤(Fatih Birol)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과 마이크로소프트의 미셸 패트론(Michelle Patron) 에너지 정책총괄 등이 기조연설을 한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국제에너지기구(IEA), 세계은행(WB),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 1 -
국제기구·세계적 기업들이 에너지- 인공지능, 지능형 에너지 체계(스마트에너지 시스템), 저탄소 혁신방안 등을 논의한다. 산업부, 탄녹위, 부산시, 과기정통부, 기상청, 산림청, 대한상공회의소, CF연합 등 다양한 부처기관이 참여하여 기후에너지 전환 관련 주요 의제를 다루는 국제 학술회의(컨퍼런스)가 열린다.
아울러, 삼성·LG를 비롯한 540 여개 기업이 참가하는 전시회에서는 에너지고속도로, 풍력·수소 등 차세대 에너지 기술, 재생에너지로의 대전환이라는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방향을 구현하고 차세대 전력망, 마이크로그리드 등을 선보인다.
또한, 글로벌 녹색 성장 기구(GGGI), 세계은행 등을 포함하여 48개 기관·기업이 참여하는 채용설명회를 통해 청년층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이야기 마당(토크 콘서트)(8.28), 인공 지능 로봇 카메라 촬영과 같은 체험 프로그램, 특별 드론쇼(27일 21시, 광안리) 등 시민 참여형 행사로 마련된다.
에너지장관회의, 국제 협력 논의
장관급 회의도 이어진다. 제16차 청정에너지 장관회의와 제10차 미션이노베이션 장관회의는 8월 25일부터 27일까지 벡스코에서 열리며, ‘번영하는 미래를 위한 역동적인 협력(Energising Cooperation for a prosperous future)’을 주제로 청정에너지 확산을 위한 정책과 기술혁신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아울러, 정부, 국내외 세계적 기업, 국제기구 및 국제단체가 참여하는 고위급 대화를 통해 ▴전력전환, ▴미래연료(수소, 생물(바이오) 연료), ▴산업탈탄소화 및 에너지효율, ▴에너지와 인공 지능 4가지 주제에 대한 민관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제15차 아시아태령양경제협력체(APEC) 에너지장관회의는 8월 27일부터 28일까지 부산 누리마루 아시아태령양경제협력체(APEC) 하우스 및 파라다이스 호텔에서 개최된다. 21개 회원 경제체 장·차관급 정부대표단과 국제기구, 유관 민간기업 등 330여 명이 참석해, ▴전력망 기반 시설(인프라) 및 에너지 안보 강화, ▴데이터 센터 등 전력수요 대응을 위한 안정적 전력공급, ▴인공 지능 활용을 통한 에너지혁신 등 국제 현안을 집중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원경제체(21개): 한국(의장), 호주, 브루나이, 캐나다, 칠레, 중국, 홍콩, 인도네시아, 일본,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페루, 필리핀, 러시아, 싱가포르, 대만, 미국, 베트남
- 2 -
한국은 이번 행사를 통해 국제 에너지협력의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10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가교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담당 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책임자 |
팀 장 |
조진화 |
(044- 203- 5170) |
<총괄> |
기후산업국제박람회 TF팀 |
담당자 |
사무관 |
서주원 |
(044- 203- 5171) |
담당 부서 |
APEC및청정에너지장관회의TF팀 |
책임자 |
팀 장 |
유재영 |
(044- 203- 5125) |
담당자 |
사무관 |
이듀정 |
(044- 203- 5706) |
||
담당자 |
사무관 |
윤다은 |
(044- 203- 5131) |
||
담당 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책임자 |
과 장 |
서성태 |
(044- 203- 5150) |
에너지기술과 |
담당자 |
사무관 |
배승희 |
(044- 203- 5153) |
|
담당 부서 |
국무조정실 |
책임자 |
과장 |
강연주 |
(044- 200- 2216) |
산업과학중기정책관 |
담당자 |
서기관 |
이영열 |
(044- 200- 2218) |
|
담당 부서 |
외교부 |
책임자 |
과 장 |
김경혜 |
(02- 2100- 7722) |
기후변화외교과 |
담당자 |
사무관 |
김현재 |
(02- 2100- 7750) |
|
담당 부서 |
농림축산식품부 |
책임자 |
과 장 |
박해청 |
(044- 201- 2631) |
농촌탄소중립정책과 |
담당자 |
사무관 |
백승인 |
(044- 201- 2636) |
|
담당 부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책임자 |
과 장 |
김태영 |
(044- 202- 4670) |
미래에너지환경기술과 |
담당자 |
사무관 |
안제성 |
(044- 202- 4673) |
|
담당 부서 |
해양수산부 |
책임자 |
팀 장 |
서은정 |
(044- 200- 6267) |
기후환경국제전략팀 |
담당자 |
사무관 |
안효정 |
(044- 200- 6268) |
|
담당 부서 |
중소벤처기업부 |
책임자 |
과 장 |
박승록 |
(044- 204- 7250) |
미래기술대응지원단 |
담당자 |
사무관 |
박준형 |
(044- 204- 7246) |
|
담당 부서 |
대통령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
책임자 |
과 장 |
최부용 |
(044- 200- 1956) |
담당자 |
사무관 |
이광현 |
(044- 200- 1958) |
||
녹색성장국 |
|||||
담당 부서 |
기상청 |
책임자 |
과 장 |
박수희 |
(042- 481- 7460) |
기상서비스정책과 |
담당자 |
사무관 |
이용자 |
(042- 481- 7454) |
|
담당 부서 |
산림청 |
책임자 |
과 장 |
김관호 |
(042- 481- 4130) |
산림정책과 |
담당자 |
사무관 |
이우리 |
(042- 481- 4199) |
|
담당 부서 |
부산광역시 |
책임자 |
과 장 |
배홍권 |
(051- 888- 4670) |
미래에너지산업과 |
담당자 |
주무관 |
최희영 |
(051- 888- 4672) |
- 3 -
참고1 |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요 |
1. 행사 개요
□ (일시 / 장소) ’25.8.27.(수) ~ 8.29.(금), 부산 벡스코
□ (주제) Energy for AI & AI for Energy
□ (주최) 한국*- IEA- 세계은행 공동주최
* 산업부, 국조실, 외교부, 과기부, 중기부, 농식품부, 해수부, 기상청, 산림청, 탄녹위, 부산시 등
□ (참석대상) APECCEM/MI 회원국 장관, 주한 외국 대사, 초청국 정부, 국제에너지기구(IEA), 세계은행(WB), ADB 및 GGGI 등 국제기구 등
2. 행사 주요 구성
□ (컨퍼런스) 글로벌 에너지라운드테이블, 한- IEA 컨퍼런스, 한- WB 컨퍼런스 등 주요 정부인사, 국제기구 등이 참여하는 컨퍼런스 개최(12개)
□ (전시회) 에너지고속도로, 재생에너지(태양광‧풍력‧수소 등), AI, 환경‧해양‧기상‧산림 등 기후에너지 분야 6개관*(약 540개 기업 전시)
* 에너지고속도로관, 미래에너지관, 탄소중립관, 청정전력관, 기상산업관, 환경에너지관
□ (부대행사) 채용설명회(48개 공공기관국제기구글로벌기업), 판매상담회수출상담회, 청년 토크쇼 등 약 60개 부대행사 개최
< 2025년 WCE 프로그램 구성(안) >
프로그램 |
주요내용 |
주최 |
|
1. 개막행사 |
개회사ㆍ환영사ㆍ기조연설 등 |
산업부 |
|
2. 컨퍼 런스 |
글로벌 리더십 서밋 |
한- IEA 에너지ㆍAI 글로벌 포럼 |
IEA, 산업부 |
한- WB 글로벌 포럼 |
WB, 산업부 |
||
KEA- ADB 청정에너지 대화 |
ADB, 에공단 |
||
EU- 한 AI에너지 세미나 |
주한 EU 대표부 |
||
글로벌 에너지 라운드테이블 |
대한상의 |
||
에너지·AI 서밋 |
청정 수소 국제포럼 |
산업부 |
|
기후테크와 인공지능 |
탄녹위 |
||
AI와 에너지 전환 |
부산시 |
||
CFE 기술 & AI |
CF연합 |
||
기후 서밋 |
글로벌 기후기술 미래전략 |
과기부 |
|
우수 기상기후 기술 |
기상청 |
||
산불과 탄소 |
산림청 |
||
3. 전시회 등 |
전시회 |
에너지고속도로관, 청정전력관 등 6개관 |
산업부, 관계부처 등 |
부대행사 |
채용설명회, 수출구매 상담회 등 약 60여개 |
참여 기관 |
- 4 -
참고2 |
기후산업국제박람회 12개 컨퍼런스 |
- 5 -
서밋 |
컨퍼런스 |
주요내용 |
주관 |
글로벌 리더십 |
한- IEA 포럼 |
ㅇ ‘Energy for AI, AI for Energy‘를 주제로 MS, 구글, NVIDIA, GE 등 주요 기업과 에너지AI 방향 논의 |
IEA, 산업부 |
한- WB 포럼 |
ㅇ WB 주도로 스마트 에너지 시스템 등 동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회복력 있는 에너지 확대 방향 논의 |
WB, 산업부 |
|
ADB 청정에너지대화 |
ㅇ ADB 주도로 국제기구, 개도국 정부, 기술기업과 지속가능한 저탄소 혁신 방안 논의 |
ADB, 에공단 |
|
EU- 한 AI에너지 세미나 |
ㅇ 청정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인공지능(AI)의 역할에 대한 고위급 논의 및 EU- 한 양자협력 모색 |
주한EU 대표부 |
|
글로벌에너지 라운드테이블 |
ㅇ 장관급 인사, 주한대사, 기업대표 등 국내외 주요 리더들이 모여 기후 대응방안 논의 |
대한 상의 |
|
에너지 AI |
청정 수소 국제포럼 |
ㅇ 청정에너지의 미래, 에너지 저장장치로서의 수소 역할 및 필요성, 청정수소 실증 사례 등 발표 |
산업부 |
기후테크와 인공지능 |
ㅇ 지속가능한 인공지능을 위한 기후테크산업 발전 방향 논의 |
탄녹위 |
|
AI와 에너지 전환 |
ㅇ 부산의 에너지혁신도시 모델, AI를 통한 에너지 저장 및 효율성 향상 등 논의 |
부산시 |
|
CFE 기술 & AI |
ㅇ AI 산업기반 조기 구축을 위한 무탄소 전원 확충 및 AI 활용 에너지시스템 효율화 방안 논의 |
CF연합 |
|
기후 |
글로벌 기후기술 미래전략 |
ㅇ 탄소중립을 가속화할 핵심 수단인 수소 및 CCU 기술의 중요성 조망, 혁신적 기술개발 전략 모색 |
과기부 |
우수 기상기후 기술 |
ㅇ 국내외 우수 기상기술 소개 및 기상기후정보 활용 우수사례 발표 |
기상청 |
|
산불과 탄소 |
ㅇ 초대형산불에 대비한 주요국의 산불방지 정책, AI 등을 활용한 과학기반 산불재난 관리방안 논의 |
산림청 |
참고3 |
전시회 주요 전시내용 |
【 제1전시장 】
□ (에너지고속도로관) HVDC, 초고압 변압기 등 차세대 국가 전력망 및 에너지고속도로 프로젝트 관련 선도 기술 및 제품 전시
< 대표 전시 내용 >
|
|
|
육/해상 그리드 솔루션, 친환경 GIIS, HVDC 등 (LS일렉트릭 & LS전선) |
친환경 전력 솔루션, HVDC, AI 기반 자산관리 솔루션(ARMOUR) (효성중공업) |
BESS, 초고압 변압기, 고효율 발전시스템(SOFC) 등 (HD현대) |
□ (미래에너지관) AI 기술 활용 스마트에너지홈, 에너지절감 솔루션 등 산업계 에너지 효율향상 방안 제시 및 고효율 기기·가전제품 전시
< 대표 전시 내용 >
|
|
|
|
AI Home 활용 제품 간 MDE 경험 중심 전시(4개존) (삼성전자) |
탄소저감 고효율 AI HVAC 시스템(콜드체인 시스템 등) (LG전자) |
수소 기반 모빌리티 기술, AI 전기자동충전 로봇 등 (현대자동차) |
AI Date Center E솔루션 및 Power Value Chain 등 (SK) |
|
|
|
|
EHS, 제로E빌딩 등 고효율 솔루션 및 AI E절감 기술 (오텍캐리어) |
수소도시 플랫폼 및 스마트 그리드 보안 인증 시스템 (한전KDN) |
AI 슬러지 여과 콘덴싱 시스템 (란다) |
기후에너지혁신상 및 CES혁신상 수상 기술·제품 (혁신상 특별관) |
□ (청정전력관)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수소 등), 원자력, 전력 그리드
- 6 -
및 RE100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혁신 기술 및 제품 전시
< 대표 전시 내용 >
|
|
|
|
4대 친환경(풍력, 수소 등) 사업 및 AI 솔루션 사례 (두산 그룹관) |
신재생에너지 및 그린수소 사업, 자원순환 사업 소개 (고려아연) |
RE100 이행 PPA 컨설팅, 차세대 태양광 모듈 등 (한화큐셀) |
AI 적용 에퀴노르 산업 및 발전효율 예측 기술 등 (에퀴노르) |
|
|
|
|
전력 그리드 기술 (초전도, HVDC 등) 및 AI 솔루션 등 (한국전력공사) |
그린 수소 벨류 체인 및 인프라 활용 사업 소개 등 (한국가스공사) |
스마트에너지플랫폼TOC+ (탄소규제 통합 운영 플랫폼)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탄소중립 정책 및 국산 목재 사용 우수사례 소개 (목재문화진흥원) |
□ (탄소중립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및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 등 탈탄소 전환 선도 혁신 기술 및 제품 전시
< 대표 전시 내용 >
|
|
|
|
AI 기반 Intelligent Factory 등 탈탄소 전환 혁신기술 (포스코 그룹) |
AI 연계형 바나듐 이온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 (스탠다드에너지) |
통합 전력 거래 운영 플랫폼(flow- V) (브이피피랩) |
탄소 회계 관리 솔루션 (WAYBLE decarbon) 등 (SK에코플랜트) |
- 7 -
□ (기상기후산업관) 기상관측 및 기후정보 활용 솔루션 등 기상기후산업 기술‧제품‧서비스 전시, 국내 기상기후 정책 및 지원사업 소개
< 대표 전시 내용 >
|
|
|
|
6M 해양기상부이 실물 및 해상풍력 솔루션 등 (씨텍) |
AI 레이더맵 및 기후환경데이터 이상감지 예측 솔루션 (디아이랩) |
휴대용 자동기상관측장비 및 드론 (쿼터니언) |
기압계, 강수유무센서, 온습도계 (파코코리아인더스) |
【 제2전시장 】
□ (환경에너지관) 하이브리드형 온실가스 감축설비 및 물산업, 자원순환, 대기, 그린에너지 등 친환경 관련 관련 기술 및 제품 전시
< 대표 전시 내용 >
|
|
|
|
한국수자원공사 공동관 (한국수자원공사, 생, 레인버드지오 등) |
녹색인증기업 공동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코리아엔텍 등) |
에코스타트업기업 (씨이비비, 초이랩, 케이- 스페이스솔루션 등) |
한국음식물감량기 협회공동관 (한국음식물감량기협회, 우람, 아인텍 등) |
|
|
|
|
스마트 에너지 제어 기술을 개발·공급하는 빌딩자동제어 전문기업 (파노텍) |
한국가스공사 동반성장관 (한국가스공사, 한일하이테크 등) |
한국가스안전공사 공동관 (한국가스안전공사, Mt.H콘트롤밸브 등) |
전력발전 협력사 공동관 (모던인텍, 한텍, 세이프텍 등) |
- 8 -
참고4 |
전시장 구성[1전시장, 2전시장] |
구분 |
전시관명 |
전시 분야 |
담당부처 |
면적(㎡) |
1 전 시 장 |
에너지고속도로관 (탄소중립 EXPO) |
ㆍHVDC, 변압기, 해상케이블, 해상 변전소, ESS 관련 기술·제품 등 |
산업부 |
810 |
미래에너지관 (대한민국 에너지대전) |
ㆍAI&에너지, 로봇, 모빌리티, 고효율기자재, 에너지 솔루션 관련 기술·제품 등 |
산업부 |
7,472 |
|
청정전력관 (대한민국 에너지대전) |
ㆍ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등), 전력망, 원자력 관련 기술·제품 등 |
산업부 산림청 농식품부 해수부 |
10,410 |
|
탄소중립관 (탄소중립 EXPO) |
ㆍ탄소중립 관련 산업 분야 기술·제품 등 |
산업부 중기부 |
5,816 |
|
기상기후산업관 (기상기후산업대전) |
ㆍ기상관측, 기상정보 솔루션, 기상기술 제품 등 |
기상청 |
2,000 |
|
2 전 시 장 |
환경에너지관 (국제환경에너지산업전) |
ㆍ자원재활용, 대기환경, 친환경 기술·제품 등 |
부산시 |
9,936 |
총 계 |
36,444 |
< 전시관별 배치 > |
|
|
|
제1전시장 |
제2전시장 |
- 9 -
참고5 |
채용설명회 참여기업[48개] |
※ 48개 기관 1:1 상담부스 운영, 대표 발표기업
구분 |
소속부처 |
기관 |
1 |
민간 (3) |
세계은행 |
2 |
GGGI |
|
3 |
RWE |
|
4 |
산업부 (27) |
한국전력공사 |
5 |
한국가스공사 |
|
6 |
한국석유공사 |
|
7 |
한국지역난방공사 |
|
8 |
한국수력원자력㈜ |
|
9 |
한국남동발전㈜ |
|
10 |
한국서부발전㈜ |
|
11 |
한국전력기술㈜ |
|
12 |
한전KPS㈜ |
|
13 |
한전KDN㈜ |
|
14 |
한국무역보험공사 |
|
15 |
한국전기안전공사 |
|
16 |
한국가스안전공사 |
|
17 |
한국산업단지공단 |
|
18 |
한국에너지공단 |
|
19 |
한국전력거래소 |
|
20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
21 |
한국석유관리원 |
|
22 |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
23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
24 |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
|
25 |
한국디자인진흥원 |
|
26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
27 |
한전원자력연료(주) |
|
28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
|
29 |
탄소산업진흥원 |
|
30 |
에너지경제연구원 |
|
31 |
기상청 (2) |
한국기상산업기술원 |
32 |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기후센터(APCC) |
|
33 |
부산시 (7) |
부산교통공사 |
34 |
부산도시공사 |
|
35 |
부산시설공단 |
|
36 |
부산환경공단 |
|
37 |
벡스코 |
|
38 |
부산관광공사 |
|
39 |
부산일자리종합센터 |
|
40 |
해수부 (2) |
해양환경공단 |
41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
42 |
산림청 (4) |
한국산림복지진흥원 |
43 |
한국임업진흥원 |
|
44 |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
|
45 |
한국등산트레킹지원센터 |
|
46 |
농식품부 (3) |
한국농어촌공사 |
47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
48 |
축산환경관리원 |
- 10 -
참고6 |
부대행사 리스트[61개] |
- 11 -
참고7 |
드론쇼 및 토크쇼 |
□ 광안리 드론쇼 공연 운영 개요
ㅇ (일시) '25. 8. 27(수), 21:00- 21:10 (10분간)
ㅇ (장소) 광안리 광안대교
|
□ 유튜브 궤도 토크콘서트 개요
- 12 -
참고8 |
APEC 에너지장관회의 개요 |
□ 명칭 :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sia- Pacific Economic Cooperation)
□ 설립배경 : 1989년에 출범해 아·태 지역의 무역·투자 자유화를 통한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적으로 설립
□ 회원국 : 총 21개국 경제체
ㅇ 동아시아(12) : 한국, 중국, 일본, 대만, 홍콩,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태국, 필리핀, 싱가포르, 브루나이
ㅇ 미주(5) : 미국, 캐나다, 멕시코, 페루, 칠레
ㅇ 대양주(3) 및 기타(1) : 호주,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러시아
※ APEC은 회원국을 국가(State)가 아닌 경제체(Economy)로 표현
□ 정상회의 : ‘93년(미국 시애틀)에서 제 1차 정상회의 개최 이후,
’24년 (페루 리마)까지 총 31회의 정상회의 개최
□ 에너지장관회의 : ‘96년(호주 시드니)에서 제 1차 장관회의 개최 이후,
’24년 (페루 리마)까지 총 14회의 에너지장관회의 개최
□ 주요 회의체 및 활동
ㅇ 에너지장관회의(EMM, Energy Ministerial Meeting, 비정기개최):
21개국 경제체 에너지를 담당하는 장관급이 참석하는 회의
- ▲APEC 에너지 부문 목표 달성, ▲역내 에너지 안보 제고, ▲역내 에너지 교역 활성화, ▲청정에너지 개발 및 보급 확대, ▲에너지 회복성, ▲에너지부문 투자 활성화, ▲장관 공동선언문 채택 등을 논의
ㅇ 에너지실무회의(EWG, Energy Working Group, 년 2회 개최) : 21개국 경제체 에너지 고위급(국장/과장급) 참석 회의
- ▲EWG 활동 계획 및 결과 보고, ▲에너지정책 대화, ▲회원국(경제체) 에너지 정책 업데이트 공유, ▲에너지전문가그룹(4개) 및 TF 활동의 계획 및 결과 발표, ▲차기 회의 개최 계획 협의 등
- 13 -
참고9 |
CEM 청정에너지장관회의 개요 |
□ 명칭 : 청정에너지장관회의(Clean Energy Ministerial, CEM)
□ 설립배경 : 2010년부터 시작해 청정에너지 보급·확산을 가속화하기 위해 美에너지부 장관이 주도하여 발족한 에너지장관회의
※ 주요 협력 의제는 재생에너지 보급, 전력망 연계, 스마트그리드, 에너지효율,
SMR, CCUS, 전기차 등 청정에너지 전환과 관련된 거의 모든 분야 포함
※ 워크스트림이라는 분야별 자율적 참여에 기반한 활동을 추구하며, 이니셔티브 15개와 유관 캠페인으로 활동함
□ 회원국 : 총 27개국 및 EC (총 28개)
ㅇ 아시아(5) : 한국,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ㅇ 아메리카(5) : 브라질, 캐나다, 칠레, 멕시코, 미국
ㅇ 유럽(13) :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노르웨이, 러시아, 스페인, 스웨덴, 영국, 폴란드, EC
ㅇ 아프리카(1), 오세아니아(2), 중동(2) : 남아공, 호주, 뉴질랜드, 사우디, UAE
□ 주요 회의체 및 활동
ㅇ (고위관료회의 및 장관회의) 매년 장관회의 주요 논의 의제 발굴 및 연간 활동 계획을 위한 고위급 회의 1회(상반기)와 장관급 회의1회(하반기) 개최
ㅇ (워크스트림, 총 26개) 청정에너지 보급 확산을 위해 CEM 회원국들이 자발적으로 제안하고 참여하는 활동체로, △장기로 활동하는 이니셔티브와 △단기성 캠페인으로 구성됨.
※ 워크스트림별 활동 목표, 계획 등을 별도 수립 운영
- 14 -
참고10 |
MI 미션이노베이션 장관회의 개요 |
1. 미션 이노베이션(Mission Innovation, MI) 개요
□ (목적) COP 21(’15.11월) 계기, 청정에너지 공공 R&D 투자 확대 및 청정에너지 기술 혁신을 목표로 출범한 글로벌 다자 협의체
ㅇ ’21년 출범한 MI 2.0은 ’30년까지 합리적인 가격의 청정에너지기술 보급·확산을 위한 R&D 투자 촉진 및 글로벌 협력 활성화 추진
* MI 1.0(’15∼’20)을 통해 회원국의 공공부문 청정에너지 R&D 투자 확대 성과 달성
□ (회원국) 23개 회원국과 EC 참여, 스위스 가입 검토중(’25.7월 기준)
< 회원국 참여 현황 > |
||
미국, 영국, 중국, 일본, 한국, 호주, 브라질, 캐나다, 칠레, 덴마크, 프랑스, 독일, 인도, 이탈리아, 노르웨이, 사우디, 스웨덴, UAE, 네덜란드, 핀란드, 오스트리아, 모로코, EC |
2. 주요 회의체 및 활동
□ (연례·장관회의) 청정에너지 기술혁신을 위한 의제 논의 등을 위해 매년 연례회의(상반기)와 장관회의(하반기)가 각 1회 개최
□ (MI 운영위원회) MI의 주요 의사결정 기구로 MI 운영을 총괄
* 한국은 ’25년 호스트로서 당연직 부의장으로 ’24.11월부터 MI 운영위원회 참여
□ (미션) 청정에너지기술의 보급·확산을 위해 공동 목표를 제시하고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협의체로 7개 미션(기술분과)으로 구성
미션이노베이션 (Mission Innovation) |
|||||||||||||||||||||||
MI 사무국(Secretariat) |
|||||||||||||||||||||||
운영위원회(Steering Committee) |
기술자문그룹(Technical Advisory Group) |
||||||||||||||||||||||
MI 회원국 |
|||||||||||||||||||||||
분야별 미션(기술분과) |
|||||||||||||||||||||||
녹색미래전력 |
넷제로 산업 |
청정수소 |
무배출선박 |
이산화탄소 제거 |
도시전환 |
통합바이오 리파이너리 |
-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