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법령·정책 > 2050 탄소중립시나리오
(단위: 백만톤CO2eq)
구분 | 부문 | ’18년 | 최종본 | 비고 | |
---|---|---|---|---|---|
A안 | B안 | ||||
배출량 | 686.3 | 0 | 0 | ||
배출 | 전환 | 269.6 | 0 | 20.7 |
|
산업 | 260.5 | 51.1 | 51.1 | ||
건물 | 52.1 | 6.2 | 6.2 | ||
수송 | 98.1 | 2.8 | 9.2 |
|
|
농축수산 | 24.7 | 15.4 | 15.4 | ||
폐기물 | 17.1 | 4.4 | 4.4 | ||
수소 | - | 0 | 9 |
|
|
탈루 | 5.6 | 0.5 | 1.3 | ||
흡수 및 제거 | 흡수원 | -41.3 | -25.3 | -25.3 | |
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CCUS) |
- | -55.1 | -84.6 | ||
직접공기포집 (DAC) | - | - | -7.4 |
|
10개 분과 72명의 전문가(국책연구기관 중심으로 구성)가 참여하여 온실가스 배출 잠재량 제안
기후, 에너지, 산업, 노동, 경제, 갈등관리, 교육, 소통 등 전문가와 시민사회, 청년, 노동자, 농민, 지자체 등 각계 대표로 위원회 구성
기술작업반에서 마련한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을 분과위원회 중심으로 검토
두 달여 간 분야별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하는 간담회 개최 및 의견 수렴
전국 15세 이상 지역별 남녀 500명으로
구성한 시민참여단 의견 수렴
국무회의 심의·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