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국민참여 > 넷제로프렌즈가 간다 > 현장취재
울산은 대한민국의 명실상부 공업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으로, 특히 대한민국의 액체물류 1위이며 울산 항만은 국내 유일 친환경 연료 공급 항만으로 선정되었다.
울산역에서 마주한 광고 (사진=백승일 기자)
울산의 제조업 성장 과정
과거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시작으로 국내 최초이자 최대 국가산업단지인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었고 조선, 석유화학, 자동차 산업 특화 산업단지가 자리 잡았다. 이어서 제3차 경제개발계획으로 ‘온산국가산업단지’가 제시되었고 비철금속, 정유 및 유류비축, 화학 특화 산업단지가 자리 잡았다.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좌)/ 온산국가산업단지(우) (사진=울산광역시 도시경관기록)
울산이 가진 잠재성
울산은 세계적으로 손에 꼽히는 공업단지 및 국내 최대 규모 액체물류 1위 항만을 가지고 있다. 이는 세계적으로도 몇 안 되는 나라들만 가진 특색으로, 해외 사례로는 로테르담, 싱가포르, 휴스턴, 앤트워프가 공업단지와 항만을 가지고 있다.
경제성장의 이면, 온실가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산업단지들도 건설된 지 각각 60년 50년이 넘어가는 시점이며 이러한 산업단지들은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국가산업단지들을 가지고 있는 울산광역시는 한국 경제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하지만 가장 많은 최종에너지를 사용하는 광역시이다. 그리고 이런 많은 최종에너지 소비는 막대한 온실가스 배출로 이어지게 된다. 울산광역시는 에너지 집약적인 도시임과 동시에 탄소 집약적인 도시이다.
울산광역시의 최종에너지 원별 소비 및 최종에너지 부문별 소비 (사진=2022지역에너지통계연보, 에너지경제연구원)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수소 활용 및 중요성
2020년부터 2030년까지의 넷 제로 배출 시나리오에서 부문별 및 지역별 수소 사용 현황 및 전망 (사진=IEA)
현재 전세계의 산업들은 탈탄소를 향해 가고 있으며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탈탄소는 선택이 아닌 필수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특히 국제에너지기구(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의 경우 2050 넷제로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산업화의 전기화가 필수적이며 동시에 열에너지가 다량으로 필요한 중공업(철강, 발전, 석유화학, 시멘트, 정제 등)의 경우는 수소 사용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울산 그리고 해외 항만의 수소 프로젝트 현황
수소항만 조성 방향과 파급효과 분석 (사진=부산산업과학혁신원, BISTEP)
현재 많은 항만들이 그린 에너지를 항만에서 수소에너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수소 에너지의 생산, 저장, 유통 및 사용을 통해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목표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는 ’로테르담 항만’에 주목해보자.
세계 최대 액체 에너지 물류 항만, 로테르담 항만
로테르담 항만의 그린 에너지 인프라 현황 (사진=로테르담 항만공사)
유럽 최대의 무역항인 네덜란드 로테르담 항만은 세계 최대 액체 에너지 물류이며 울산과 마찬가지로 산업단지와 항만이 함께 자리하고 있다. 로테르담 항만은 2020년 기준 연간 8,800PJ의 에너지를 교역하며 유럽 총 에너지 수요의 13%를 차지하며 북서유럽 에너지 공급의 요충지이다. 네덜란드는 과거 가장 많은 그레이 에너지를 수송했던 항만에서 세계 최대 국제 수소 허브로 나아가고 있다. 기후 협약(The Climate Agreement)을 통해 2030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990년 대비 49% 감축, 2030년까지 최소 4GW의 전기분해 용량을 확보하도록 규정하고 2032년엔 8GW의 전기분해 용량을 목표로 한다. 또한 네덜란드 정부는 기후 기금 예산에 90억 달러를 확보해, 그린 수소를 더 많이 사용하도록 장려한다.
재도약을 준비하는 울산
울산 수소시범도시 구상도 (사진=h2appyulsan)
울산은 한 때 한국의 경제성장을 이끌던 주역이었고, 지금은 탄소집약도가 높은 지역이다. 울산은 로테르담 항만 등을 벤치마킹하며 더 나아가 2030년에 세계 최초로 수소터미널을 운영해 어떤 도시보다 탄소배출이 낮고 깨끗한 도시로 나아갈 준비에 힘을 모으고 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탄녹위 권역별 포럼-울산] (2)산업도시 울산의 미래와 수소산업 생태계 구축
넷제로프렌즈 청년기자 백승일
원문 바로가기: https://blog.naver.com/seung_il23/223505156746
본 글은 넷제로프렌즈의 개인적인 의견으로, 탄녹위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