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15일, 넷제로프렌즈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기업공동활용연구센터(CAST)를 찾아
태양광 기술을 직접 체험하는 현장견학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현장견학으로 탄소중립 미래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태양광 기술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국내 기술 발전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태양광기업공동활용연구센터(CAST) 소개]
“미래 태양광 기술을 위한 Quest를 수행하는 CAST”
CAST는 Center for Advanced Solar PV Technology를 의미하며 국내 태양광 제품의 원천
기술 부터 상용화에 이르는 전 과정의 기술을 연구하며 태양광 기술의 핵심 플랫폼으로서 설립되었습니다.
[2025년 태양광 기술 및 시장 동향]
“태양광, 탄소중립을 향한 미래 핵심 기술”
태양광은 2050년 세계 에너지 공급의 26%를 담당할 만큼 중요한 미래 에너지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그런 가운데, 중국이 주도하고 있는 태양광 시장의 현황도 짚어보며 대외적인 흐름에 영향 받지 않기 위해서는
CAST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태양전지 기판으로 사용하는 ‘실리콘 웨이퍼’를 직접 만져보는 색다른 경험의 시간]
“직접 체험해보는 태양광 기술 공정”
이후 실제 실험 가운을 입고 실험실을 둘러보며 공정을 두 눈으로 볼 수 있었습니다.
우선, 머리카락 정도의 얇은 두께로 가공된 웨이퍼를 직접 만져보고,
도핑공정, 패시베이션 공정, 전극공정 등 태양전지가 만들어지는 제조 과정을 확인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모든 공정을 거쳐 제작된 태양광 모듈를 직접 확인해 보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또한, 앞선 태양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는 버스 와이어 태빙 공정과
모듈화를 위한 레이업 및 라미네이션 공정 등을 살펴보았습니다.
[버스바 태빙 공정과 모듈화를 위한 레이업 및 라미네이션 공정에 대한 설명을 들어보았습니다]
모든 공정을 거쳐 제작된 태양광 모듈의 종류를 가까이에서 직접 확인하며,
효율적인 제품 생산을 위한 국내 기업과 CAST의 노력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연구원 박사님들의 설명과 함께 도핑, 패시베이션, 전극 공정 과정을 살펴보는 넷제로프렌즈 3기]
“태양광 기술과 탄소중립의 미래”
탄소중립 주체자로서 태양광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넷제로프렌즈가 CAST에서의 교육으로 더욱 심도 깊은 탄소중립 활동을 이어나가길 바랍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