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위원회활동 > 위원장 활동
“450兆 녹색금융 활용… 온실가스 40% 감축의 열쇠”
김상협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委 민간위원장
우리는 지구를 구할 수 있을까? 정확히 말해 우리는 지구에 살고 있는 우리를 구할 수 있을까? 지구의 날을 맞이할 때마다 고개를 드는 질문이다. 답은 궁색하다. 무엇보다 지구적 도전으로 다가온 기후변화와 관련, 우리가 지키기로 한 약속들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역행하는 측면이 많다. 지난해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량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산업화 이전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을 섭씨 1.5도 이내로 묶겠다는 파리기후협약을 지키기 위해서는 2030년까지 45% 감축이 구현되어야 하지만 실제 추세는 이와 동떨어진다.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C3S) 연구소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2023년 4월부터 2024년 3월까지의 지구 평균 기온은 산업화 이전 기준 연도인 1850년에 비해 섭씨 1.58도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어쩌면 올해 중 UN에서 인류의 목표가 무너졌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무엇보다 바다가 심상치 않다. 바다는 그동안 지구의 열을 90% 가까이 흡수하는 완충 역할을 해왔지만 북대서양을 비롯, 세계 곳곳에서 이상 고온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바다가 만약 열을 배출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세계적 해양 기후학자인 알렉스 팀머만 부산대 석좌교수는 “바다의 역작용은 인류가 처음 겪는 일이라 과연 어떻게 전개될지 모르는 게 너무 많다”고 말한다.
우선 각국의 숙제부터 최선을 다해 풀어나가야 한다. 한국의 경우 2018년 대비 2030년까지 온실가스 40% 감축이 가장 큰 숙제다. 선진국 대부분이 1990년대 초반에서 2000년대 초반 사이에 온실가스 배출 정점이 왔던 것과 비교하면 한국의 목표는 분명 야심적이다. 더구나 한국은 세계 5대 제조업 국가로 산업구조 자체가 에너지 집약적이다. 그럼에도 한국도 인류 공동 운명체의 일원으로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2022년 10월 발족한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가 지난 정부가 발표한 40% 감축 목표를 이어받은 이유다.
* 보다 자세한 인터뷰 내용은 아래 해당 언론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