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 기후변화가 불러온 재앙의 메신저
정수종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한국은 그간 온대기후 특성을 보였지만 이젠 거의 아열대화가 되었다. 앞으로 아열대화가 심해질 것이다
각종 병원체를 품은 모기들이 한국으로 몰려올지 모른다는 뜻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모기의 활동 변화는 재앙의 씨앗으로, 과거에는 한국에 없던 질병을 창궐시킬 수 있다
2019년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든 놀라운 일이 발생했다. 중국의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19(COVID-19)’의 발병이다. 2023년 3월 기준 전 세계에서 6억8000만명이 넘는 사람이 감염됐고, 그중 약 1%인 680만명이 사망했다. 매일 저녁 뉴스에 나오는 감염자 숫자를 보며 나도 언젠가는 저 병에 걸릴 수도 있겠다며 두려움에 떨던 기억이 있다. 매일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감염자 숫자도 놀라웠지만, 사실 더 놀라운 점은 코로나19 감염자를 줄이기 위해 사회·경제·교육·문화 등 인간 삶의 모든 질서를 바꾼 것이다. 대학에서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 기업은 재택근무, 회식이 사라지고 혼자 배달 음식을 시켜 먹는 등 한 번도 상상하지 못한 세상을 경험했다.
사실 아직 완벽하게 코로나19가 종식됐다고 할 수는 없지만 지금 다시 찾은 이 평화가 얼마나 행복한지 모른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기후변화를 연구하는 과학자로서 지금 이런 평화가 또 다른 질병으로 인해 깨질지 모른다는 걱정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그 이유를 지금부터 들려주려 한다.
먼저 많은 사람이 알겠지만,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박쥐를 매개로 인간에게 전파된 인수공통 감염병이다. 먼저 여기서 감염병과 전염병에 대한 차이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흔히 감염병과 전염병을 혼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보통 바이러스, 기생충, 세균 등의 병원체가 우리 몸속으로 침투해 오는 것을 감염이라 하고, 병원체에 의해 발생한 병을 감염병이라 한다. 인수공통 감염병이란 사람과 동물이 모두 감염될 수 있는 병으로, 동물을 매개체로 전파되기 때문에 동물 매개 감염병이라고도 한다.
많이들 기억하고 있을 것 같은데 2002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2010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가 대표적인 인수공통 감염병이다. 사스, 메르스, 코로나19에서 경험한 것처럼 이러한 질병은 공기나 물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옮을 수 있다. 이렇게 많은 사람에게 전염돼 집단으로 유행하는 질병을 전염병이라 한다. 그래서 꼭 모든 감염병이 전염병인 것은 아니다.
* 보다 자세한 기고 내용은 아래 해당 언론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
첨부파일